[월간시민 14호]

관리자
2025-07-03
조회수 9
잘 드러나지 않지만, 세상의 변화를 지탱해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이름으로 불리든, 우리는 그들을 공익
[2025년 6월 | 월간시민 제14호]

세상의 변화에는 늘 공익활동가가 있습니다.


잘 드러나지 않지만, 세상의 변화를 지탱해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이름으로 불리든, 우리는 그들을 '공익활동가'라고 부릅니다. 복지가 권리로 자리잡고, 연대와 돌봄이 제도 속에 뿌리내릴 수 있었던 것은 언제나 이들의 끊임없는 활동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한 지금, 공익활동이 멈추지 않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우리 사회의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하며 변화를 만들어 온 시민사회가 지속가능하기 위해 어떤 조건이 마련되어야 할까요?


분열과 불평등기후위기와 같은 시대적 과제를 넘어모두가 기본적인 삶의 조건을 보장받는 지속가능한 사회는 시민사회와 함께   가능합니다공익활동가의 역할이 존중받고,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만들어져야  지금 정부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응답해야 합니다.


🎉 2025 공익활동가주간이 찾아옵니다
지역과 영역, 세대를 잇는 연대로 공익활동가를 응원하는 시간 

2025 공익활동가주간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까요? 지금 확인해보세요! 👀📢



[2025 공익활동가주간 기념 심포지엄] 📝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새 정부의 책임과 역할'
새 정부 출범을 맞아 시민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제도화를 위한 논의의 장에 초대합니다.
📅 6월 30일(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온라인 중계 병행)

📰 [정책칼럼, 시민의 시선] 이재명 정부의 기본사회, 시민사회 없이는 불가능하다
시민사회의 시각으로 우리 사회와 시민사회 정책을 짚어보는 정책칼럼 [시민의 시선], 그 두 번째는 박영선 연구교수(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사단법인 시민 정책위원)가 복지를 ‘권리’로 만들어온 시민사회의 역할을 되짚으며, 새 정부 국정비전 속에서 시민사회의 제도화와 연대 전략을 제안합니다.

💬 [설문조사] 공익법인등·공익단체 (재)지정 절차, 어떻게 느끼셨나요?
공익네트워크 우리는’이 비영리법인·단체의 공익법인등·공익단체(구 지정기부금단체) 지정·재지정 과정에서의 실질적 어려움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더 나은 공익활동 환경을 위해 설문조사에 참여 해주세요!

🗣️ [인사이드 시민] 현장과 기억, 연구와 실천을 잇는 사람, 이영재 이사를 만났습니다

민주화운동 관련 기록과 마을공동체 현장의 경험, 그리고 정책 연구까지, 연구와 강의, 책과 사람을 잇는 활동을 쉼 없이 이어가는 이영재 이사를 만났습니다. 공감의 기록을 통해 시민사회의 숨은 목소리를 전하고, 새로운 상상으로 더 단단한 공익활동 생태계를 그려가는 이영재 이사의 이야기를 만나세요!


🗣️ [디비디비딥] 한국사회의 '보이지 않는 노동'을 드러내고 기록한 우춘희 연구자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우춘희 연구자는 미국 매사추세츠대 사회학 박사과정 중  밀양의 한 깻잎 농장에서 이주노동자들과 함께 생활하며 이주노동문제를 연구했습니다. '이주노동자 없이 농사를 짓지 못한다' 것이 이제는 모두가 아는 사실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그들의 삶의 조건에 대해서는 외면해  우리 사회의 비겁함과 제도적 모순을 확인하고 지금과는 다른 미래를 생각해 보는 시간입니다.


🌪️ [정책위원회] '새 정부의 시민사회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고민들'

6월 정책위원회에서는 ‘시민사회 전담 행정기구 설치’ 논의를 중심으로, 대선 정책협약의 국정과제 반영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내용보기)

🤝 [나눔지식네트워크] 비영리학회 참여와 나비효과

6월 18일, 다양한 시민사회 연구기관들이 모인 나눔지식네트워크에 참여, <비영리학회 참여와 나비효과: ISTR, ARNOVA 사례>를 듣고, 시민의 활동을 공유하며 연결의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 내용보기)

✨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 기본계획을 다시 여는 시간

6월 17일, 경기도 시민사회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1차 공동워크숍이 열려 현장 활동가와 이해관계자들이 지난 시기 기본계획 이행성과 성과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내용보기)

🌿 시화나래환경기금의 방향을 묻는 여정

'시화호권'이라는 공간 안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공익활동 생태계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안에서 기금이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내용보기)


www.simin.or.kr | simin@simin.or.kr | 070-7733-3925~6
서울시 중구 필동로 12 동영빌딩 202호

수신거부 Unsubscribe
0 0

공익제보_국민권익위원회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