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시민 8호]

관리자
2024-12-26
조회수 135
실로 많은 일들이 있었던 12월이었습니다. 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시작으로 국민들의 일상이 무너지기 시작
비정상적인 행위가 아무렇지 않게 스며들어도
 우리는 우리만의 일상성을 찾아갈 것입니다.

실로 많은 일이 있었던 12월이었습니다. 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시작으로 국민의 일상이 무너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이라는 염원을 품고 추운 날씨에도 거리와 광장으로 나왔던 국민들의 표정과 기운이 잊히지 않는 12월이기도 했습니다. 비정상적인 행위가 아무렇지 않게 우리 일상을 파고들었던 그런 12월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만의 일상성과 항상성을 찾아갈 것이라 믿습니다. 사단법인 시민도 우리만의 항상성을 찾아가고자 했던 2024년이었습니다. 사단법인 시민이 시민사회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 이유를 더욱 선명히 다듬고자 한 해이기도 했습니다.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사단법인 시민만의 시대정신 속에서 2025년 사단법인 시민의 역할을 더욱 깊이 고민해보겠습니다. 그 고민의 여정을 홀로 걷기보다는 사단법인 시민을 지지해주시는 분들과 함께 방안을 채워나가겠습니다.


사단법인 시민만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이지 않게 응원해주신 후원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2024년을 돌아보며 2025년에 대한 기대감을 살포시 얹어봅니다. 우리에게는 여전히 일상을 지켜나가고자 하는 힘이 있으니까요. 새해에는 더욱 뜻하시는 바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시민사회 정책정보
시민사회 활성화 법령과 정책이 폐지되며 공익활동 환경이 후퇴하고, 지방정부 중간지원조직도 잇달아 축소·폐쇄되고 있습니다. 광장의 민주주의가 다시 타오르는 요즘, 시민사회 중간지원조직 폐쇄와 축소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무엇일까요?  ( 👉 내용보기 
지난 12월 5일, 국회시민정치포럼이 시민사회 및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해 4개 법안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공익활동의 방식, 주체, 공간이 다양해진 만큼 그에 맞는 제도환경도 변화가 필요한 가운데,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그에 따른 영향을  살펴봅니다. ( 👉 내용보기 )

경기도 시민사회와 공익활동 현황을 고려하여 제2기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의 새로운 비전전략체계와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단법인 시민이 4월부터 진행한 [경기도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공익활동지원센터 비전전략체계 수립 연구] 보고서가 공개되었습니다.
역량강화 교육
공익 아이디어를 정부 정책으로 만들고 싶으신가요?
공익활동을 보다 확산시키기 위해
공공의 정책으로 제안하기 위한 방법의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디비디비딥 | 영상으로 만나는 연구활동가 이야기
동짓날 남태령의 긴 밤을 넘어, 많은 시민들이 크리스마스 이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다이인(Die-in) 행동에 함께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시민사회 현장을 중심으로 지식을 확장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고민하는 연구자, 활동가를 소개하는 디비디비딥은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연구하고 토론하는 노들장애학궁리소 김도현 연구활동가를 만났습니다.

최근 활동과 주요 공지
🕯️ 긴급성명 | 윤석열 대통령의 자유민주주의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 내용 보기 👆)
💳 2024년 기부금 영수증 발급 안내 ( 내용 보기 👆)
🌲 연말 (12월 30일 ~ 31일) 휴무 안내 ( 내용 보기 👆)

💬 "시민의 특별했던 2024년을 돌아보며" 제7차 이사회 진행 ( 자세히 보기 👆)
📘"시민사회단체 투명성·책무성 교육" 총리실 연구 최종보고회 진행 (자세히 보기 👆)
💻 "디지털 전환으로 한 걸음 더" IT인프라 지원사업 참여 후기 ( 자세히 보기 👆)




사단법인 시민
www.simin.or.kr | simin@simin.or.kr | 070-7733-3925~6
서울시 중구 필동로 12 동영빌딩 202호
수신거부 Unsubscribe
1 0

공익제보_국민권익위원회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