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시민은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에 기초하여 수립된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 1·2기 기본계획」 이행에 대해 분석하고, 시민사회와 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해 발전적인 3기 기본계획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2025년 시민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를 소개합니다).
관련하여 지난 6월 17일, 연구진과 경기도 시민사회 및 공익활동 관련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현장의 평가와 전략적 방향을 고민하는 첫 번째 대화의 자리(1차 공동워크숍)가 열렸습니다.
🔍 왜 ‘공동워크숍’을 진행하였는가?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진이 과거 평가와 미래 방향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경기도 내 시민사회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표하는 주체들(현장활동가, 지역사회 전문가,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관계자, 경기도시민사회활성화위원회, 시민사회관련 담당공무원 등)과 집중적인 논의를 통한 참여형 계획수립이 될 수 있도록 공동워크숍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진은 기존 기본계획의 이행 분석과 시민사회 정책환경에 대한 분석 등 논의를 위한 자료를 사전에 준비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워크숍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내용을 검토하고 논의합니다. 이후 논의된 내용을 다시 정리·보완하는 과정을 4차례 반복하며 앞으로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대한 기본계획의 방향과 목표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됩니다.
경기도 내 시민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이 과정에 함께 참여하여 앞으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을 위한 방향과 목표를 해석하고 재구성하고, 이는 향후 수립될 3기 기본계획의 실효성과 이행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무엇을 성과로 볼 것인가
1차 워크숍에서는 연구진이 그 동안 정리한 기본계획의 이행성과와 시민사회 정책환경에 대한 분석 내용을 간략히 공유했습니다. 아직 분석과 평가 작업이 완료된 것은 아니지만, 1기와 2기를 거치며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일정한 정책 구조와 지원 체계가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진전이 있었음을 짚어보았습니다. 다만, 이행의 편차, 정책 추진 주체의 편중, 연결의 단절 등 여러 고민 지점도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참여자들은 각자 활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느꼈던 성과와 한계, 정책과 현장 감각 사이의 불일치, 그리고 지원 이후의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동일한 내용이지만 지역이나 참여자에 따라 효과성이나 의미를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고, 한편으로는 지원 이후 흐름의 단절과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공통된 아쉬움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금보다 더 나은 구조와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자 하는 공통의 기대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험과 의견이 활발히 공유되었습니다.
🌱 경기도 시민사회, 함께 그려갈 다음 장면을 기대하며
앞으로 이어질 워크숍들은 1차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정책 구조와 실행 가능성을 함께 그려보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시민사회를 지탱해온 분들의 경험과 통찰이 모여, 연구의 결과가 단순한 책자가 아니라 현실과 호흡하는 살아 있는 내용으로 완성되길 기대합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소중한 이야기를 나눠주신 참여자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이러한 만남과 논의들이 경기도 시민사회의 더 넓고 단단한 기반을 함께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사단법인 시민 후원하기(클릭)
🔍 왜 ‘공동워크숍’을 진행하였는가?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진이 과거 평가와 미래 방향을 제안하는 방식이 아니라, 경기도 내 시민사회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표하는 주체들(현장활동가, 지역사회 전문가, 경기도공익활동지원센터 관계자, 경기도시민사회활성화위원회, 시민사회관련 담당공무원 등)과 집중적인 논의를 통한 참여형 계획수립이 될 수 있도록 공동워크숍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연구진은 기존 기본계획의 이행 분석과 시민사회 정책환경에 대한 분석 등 논의를 위한 자료를 사전에 준비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워크숍을 통해 참여자들과 함께 내용을 검토하고 논의합니다. 이후 논의된 내용을 다시 정리·보완하는 과정을 4차례 반복하며 앞으로 경기도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에 대한 기본계획의 방향과 목표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됩니다.
경기도 내 시민사회 이해관계자들이 이 과정에 함께 참여하여 앞으로 시민사회 활성화와 공익활동 증진을 위한 방향과 목표를 해석하고 재구성하고, 이는 향후 수립될 3기 기본계획의 실효성과 이행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무엇을 성과로 볼 것인가
1차 워크숍에서는 연구진이 그 동안 정리한 기본계획의 이행성과와 시민사회 정책환경에 대한 분석 내용을 간략히 공유했습니다. 아직 분석과 평가 작업이 완료된 것은 아니지만, 1기와 2기를 거치며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일정한 정책 구조와 지원 체계가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진전이 있었음을 짚어보았습니다. 다만, 이행의 편차, 정책 추진 주체의 편중, 연결의 단절 등 여러 고민 지점도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참여자들은 각자 활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느꼈던 성과와 한계, 정책과 현장 감각 사이의 불일치, 그리고 지원 이후의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동일한 내용이지만 지역이나 참여자에 따라 효과성이나 의미를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고, 한편으로는 지원 이후 흐름의 단절과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공통된 아쉬움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금보다 더 나은 구조와 방향을 함께 모색하고자 하는 공통의 기대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경험과 의견이 활발히 공유되었습니다.
🌱 경기도 시민사회, 함께 그려갈 다음 장면을 기대하며
앞으로 이어질 워크숍들은 1차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정책 구조와 실행 가능성을 함께 그려보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시민사회를 지탱해온 분들의 경험과 통찰이 모여, 연구의 결과가 단순한 책자가 아니라 현실과 호흡하는 살아 있는 내용으로 완성되길 기대합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소중한 이야기를 나눠주신 참여자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이러한 만남과 논의들이 경기도 시민사회의 더 넓고 단단한 기반을 함께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사단법인 시민 후원하기(클릭)